뇌 안에 신의 자리(갓 스팟, God Spot)는 존재하는가?
신경과학자들은 종교적 경험으로 이어지는 뇌 회로를 탐색하면서 우리의 가장 심오한 질문 중 일부를 다루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종교가 신경과학으로 설명될 수 있을까요? 신경 신학이라고 불리는 완전히 새로운 연구 분야는 뇌의 이러한 측면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뇌에 존재하는 신의 자리(God-spot)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을 수도 있고, 들어보지 못했을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영성(영적 경험, spirituality)을 담당하는 별개의 영역인 뇌에 있다고 하는 특정 위치를 말합니다. 뇌의 특정 부분은 더 지배적인 역할을 하지만, 모든 부분이 함께 작용하여 개인의 영적 경험을 촉진합니다.
신의 자리(God Spot)란?
영적인 탐구는 인류만큼이나 오래되었지만 이제 살펴볼 새로운 장소가 있습니다. 바로 우리 머리 속입니다. 연구자들은 현대 신경과학의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사람들이 기도와 명상 중에 또는 종교적 열정에서 영감을 받은 자발적인 발언 중에 신비한 각성을 경험할 때 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아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대학의 신경과학자들은 종교적 경험 중에 활성화된다고 믿는 뇌 전두엽의 매우 작은 영역을 발견했습니다. 신의 자리 라고 명명된 뇌의 부위는 신과 소통하려는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뇌의 아주 작은 신경 중추라고 믿어졌습니다. 신경과학자들은 발작 중 강렬한 신비로운 경험을 보고한 간질 환자를 연구하던 중 이 “신의 자리”의 신경 중추를 발견했습니다.
신(God)이 인간의 뇌 속에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신경신학자들이 종교적 경험에 대한 신경학적 토대로 제시하는 또 다른 사례는, 종교의식에서 경험하는 경외감과 뇌의 변연계(limbic system)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변연계는 대뇌 피질과 시상하부 사이에 위치하는 일련의 구조물들을 가리키며 주로 감정, 행동, 욕망 등의 조절에 기여하며 특히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십 년 동안 영성과 종교성이 뇌의 특정 “신의 자리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논쟁이 있어 왔습니다. 2012년 신경신학을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는 “영적 경험은 뇌의 다양한 부분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새로운 연구(2021)는 뇌의 “God Spot”이 뇌간의 회색 영역에 연결된 신경 회로에 뿌리를 두고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를 위해 수많은 흥미로운 실험이 고안되어 종교적 경험의 본질과 기원에 관한 다양한 경쟁 이론이 탄생했습니다. 일부 실험은 명상 수행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신비로운 경험에 중점을 둡니다.
영적 경험과 뇌의 연관 관계 연구
신경과학자들은 수십 년 동안 뇌에서 ‘신의 자리’를 찾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종교가 특정 지점의 신경적 변이에 지나지 않을까요? 오늘날 영적 신경 과학자들은 신과 연결되는 느낌과 우주와 연결되는 신경 차이가 무엇인지와 같은 매우 민감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더 깊이 파고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뇌의 어느 부분이 영적인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적극적으로 관여하는지, 뇌의 어떤 부분이 활성화될 때, 명상이 신의 자리를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는데 이것은 신경 과학의 일부입니다. 이것들은 모두 질문을 받고 있으며 답을 찾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신경신학(neurotheology)이 하려는 일은 과학의 권위를 종교에 부여하는 것입니다.
신의 헬멧(God Helmet)
신경과학자들은 뇌의 특정 부분이 개인의 영적 경험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오랫동안 궁금해 해 왔습니다. 예를 들어, 스탠리 코렌(Stanley Koren)과 심리학자인 마이클 퍼싱어(Michael Persinger)는 신의 헬멧(God Helmet)을 개발하여 수백 명의 지원자의 측두엽에 약한 생리학적 패턴의 자기장을 방출하여 착용자가 신의 존재를 느끼게 하는 실험으로 유명합니다.
이 실험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수단을 통해 뇌를 조작하여 피험자가 신적이거나 초자연적인 존재와의 만남처럼 느껴지는 경험을 창조하려고 시도합니다.
카르멜회 수녀(God Helmet)들의 종교적 체험
신의 존재를 느끼거나 신비한 종교적 체험을 할 때 반응하는 뇌 속 부위는 한 곳이 아니라 10여 곳에 이르는 복잡한 신경회로라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캐나다 몬트리올대 심리학자들은 23~64세의 카르멜회 수녀 15명의 뇌 조영 검사 결과에서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는 종교적 체험을 할 때 ‘신의 자리(God spot)’라고 불리는 한 곳이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연구팀은 수녀들에게 지금까지의 종교적인 체험 중 가장 열정적인 것을 떠올리도록 요청한 뒤 자기공명촬영기법으로 뇌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 뇌의 평화감과 행복, 지각을 관장하는 부위의 신경활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체험을 떠올리기 전에 촬영한 이미지와 비교한 결과 뇌 속의 적어도 12개 지점에서 전기적 활동과 혈중 산소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교적 체험을 할 때의 뇌 활동은 다른 사람과의 열정적인 감정적 경험’을 떠올렸을 때 나타나는 반응과는 다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연구팀은 신경과학 전문지 ‘뉴로사이언스 레터스’에 발표된 논문에서 이 연구는 신의 존재를 확인하거나 부인하려는 게 아니라 깊은 종교적 체험을 할 때 뇌 속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과학자와 학자들은 종교적 감정이 뇌의 특정 위치와 연결될 수 있다고 오랫동안 추측해 왔습니다. 과학자들은 인간의 뇌에는 영성을 담당하는 뇌의 독특한 영역인 ‘신의 자리(God Spot)’가 있다고 추측해 왔습니다. 1892년 정신 질환에 관한 교과서에서는 “종교적 감정주의”와 간질 사이의 연관성을 언급했습니다.
거의 100년 후인 1975년 보스턴 재향군인회 병원의 신경학자 노먼 게쉬윈드(Norman Geschwind)는 발작이 귀 위에 있는 뇌의 큰 부분인 측두엽 내에서 전기적 오작동으로 발생하는 간질의 한 형태를 처음으로 임상적으로 기술했습니다.
이러한 형태의 장애를 앓고 있는 간질 환자는 강렬한 종교적 경험을 하는 경우가 많아 Geschwind와 Vanderbilt 대학의 신경정신과 의사 David Bear 등 다른 사람들은 뇌 측두엽의 국부적인 전기 폭풍이 때때로 종교적 또는 도덕적 문제에 대한 집착의 기초가 될 수 있다고 추측하게 되었습니다.
오른쪽 두정엽과 영적 체험의 관계
미주리 대학 연구자들은 영성이 복잡한 현상이며 뇌의 여러 영역이 영적 경험의 여러 측면을 담당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영적 초월이 오른쪽 두정엽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다는 이전에 발표된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그 결과를 재현했습니다. 또한 연구자들은 영적 기능의 다른 측면이 전두엽의 활동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영성은 뇌의 많은 부분을 사용하는 훨씬 더 역동적인 개념입니다. 뇌의 특정 부분이 더 지배적인 역할을 하지만 모두 함께 작용하여 개인의 영적 경험을 촉진합니다.” 라고 심리학 교수인 브릭 존스톤(Brick Johnstone)은 말했습니다.
가장 최근 연구에서 Johnstone은 오른쪽 귀에서 몇 인치 위에 위치한 뇌 영역인 오른쪽 두정엽에 영향을 미치는 외상성 뇌 손상을 입은 20명을 연구했습니다. 그는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더 높은 힘에 얼마나 가깝다고 느끼는지, 자신의 삶이 신성한 계획의 일부라고 느끼는지와 같은 영성의 특성에 대해 조사했습니다. 그는 오른쪽 두정엽에 더 심각한 부상을 입은 참가자들이 더 높은 힘에 대한 친밀감이 증가한 것을 발견했습니다.
“우리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더 영적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는 영적인 경험이 자아에 대한 집중력 감소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사람들이 자기 자신보다는 타인의 행복에 집중해야 한다고 제안하는 많은 종교 문헌과 일치합니다.” 라고 Johnstone은 말했습니다.
존스톤은 뇌의 오른쪽이 자기 지향과 연관되어 있는 반면, 왼쪽은 개인이 타인과 어떻게 관계를 맺는가와 연관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이 발견은 영적인 경험이 뇌의 다른 부분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라고 Johnstone은 말했습니다.
브릭 존스톤(Brick Johnstone)은 “신의 자리가”가 뇌의 한 영역에만 국한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존스톤은 영성은 복잡하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영성은 뇌의 여러 영역과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환원주의
환원주의 경향은 수세기 동안 서구 문화의 특징이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자연법칙에 따른 물질의 행동에 대한 설명이 끝날 때까지 아무것도 실제로 이해되지 않는다는 강한 확신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무언가를 실제로 이해하려면 기초 과학을 이해하고 원자와 분자의 숨겨진 작동에 관해 말하는 내용을 이해해야 합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뇌과학이 발전하면서 그러한 환원주의적 경향은 종교적 신념과 경험에도 적용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발전으로 인해 일부 사람들은 인간을 중추 신경계가 있는 단순한 신체로 생각하는 해로운 경향이 생겼습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것은 신경과학을 통해 설명되어야 합니다.
환원주의(還元主義, Reductionism) |
---|
어떤 현상에 대해서 설명 가능한 것을 말합니다. 유몰론적 형태를 띄고 있으며,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물리적 용어(신경세포, 전기자극)들을 사용하여 설명합니다. 그리고 모든 심리적 상태에 대해 그러한 물리적 설명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
신경신학(neurotheology)
신경신학(Neurotheology)은 종교와 영적 경험이 우리 두뇌에 생물학적 기반을 갖고 있는지를 확인하려는 비교적 새로운 과학 분야입니다. 즉, 인간은 종교적으로 만들어져 있는가? 인간은 신과 직접적인 연결을 갖고 있는가? 그리고 신은 인간의 두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가? 기도나 종교적 행위는 인간의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종교와 기도의 영향이 뇌의 물리적 구조에 나타나는가? 등의 연구를 수행해 왔습니다.
연구자들은 기도할 때 뇌의 어느 부분이 영향을 받는지 알아내기 위해서 수백 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수많은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연구자들은 특정 종교가 있고 없고의 차이가 뇌 스캔에서 다르게 나타나는지, 아니면 일반적으로 종파나 종교적 신념에 관계없이 종교가 뇌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싶어합니다. 그들은 기도의 빈도나 기도의 길이가 뇌에 눈에 띄는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고 싶어합니다.
신경 영상은 과학자들이 인간 두뇌를 연구하는 방식을 변화시켰습니다. 전 세계의 신경신학자, 신경학자, 심리학자로 구성된 대규모 커뮤니티가 이제 기도와 명상 중에 뇌가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는 데 참여하고 있습니다. 기도와 종교가 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
50년대부터 종교가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있었지만 현재 연구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중요한 새로운 기술 발전 중 하나는 살아 있고 작동하는 뇌의 신경 영상입니다.
50년대와 60년대에도 과학자들은 사람이 명상하거나 기도할 때 뇌파가 변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뇌의 어느 부분이 켜지거나 꺼지는지, 사람들이 믿을 때 어떤 뇌 회로가 활성화되는지를 정확히 알 수 없었습니다. 뇌의 신경 영상화는 이러한 상황을 변화시켰고 이제는 명상 또는 기도 중에 뇌의 어느 부분이 관여하는지, 어느 부분이 조용해지는지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신의 자리는 없다?
인간의 두뇌에는 신비주의적이고 종교적인 경험을 담당하는 단 하나의 “신의 자리”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대신, 그러한 경험을 겪은 사람들이 종종 묘사하는 신이나 자아보다 더 큰 것과의 합일감은 일반적으로 자의식, 감정 및 신체 표현 과 같은 다양한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뇌 영역의 활성화와 관련됩니다. Neuroscience Letters에 자세히 설명된 이 발견은 뇌에 신과 소통하도록 설계된 특정 영역이 있을 수 있다는 다른 연구자들의 이전 제안과 모순됩니다.
이 연구에서는 23세에서 64세 사이의 15명의 봉쇄수도원의 카르멜회 수녀들에게 가장 강렬한 신비로운 경험을 재현하도록 요청하면서 뇌를 스캔했습니다. 수녀들은 실험 중에 신과의 영적 상태를 실제로 달성하려고 노력하지는 않았습니다.
“이 연구의 주요 목표는 신비로운 경험과 신경 상관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그러한 경험의 의미와 가치를 감소시키지 않으며, 신의 존재를 확인하거나 부정하지도 않습니다.” 라고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의 연구 책임자인 Mario Beauregard가 말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신비로운 경험은 뇌의 1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영역을 동시에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꼬리핵(caudate nucleus)이라고 불리는 영역 중 하나는 행복 , 낭만적인 사랑 , 모성애와 같은 긍정적인 감정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신비로운 경험 중 이 뇌 영역의 활성화가 수녀들이 묘사한 기쁨과 무조건적인 사랑의 감정과 관련이 있다고 추측합니다.
신경과학에 의한 영성 연구의 한계
신경과학은 자아감에서 사랑의 감정, 신의 존재에 이르기까지 모든 경험이 뇌 활동에서 나온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과학자가 경험을 불러일으키는 통제 자극을 분리할 수 있다면 신에 대한 경험을 포함한 모든 경험은 실험실 내에서 실험적으로 검증되고 재현되어야 합니다.
Persinger는 뇌 과학 분야의 일부 사람들이 갖고 있는 감정을 표현하면서 그러한 모든 사건을 결국 신경과학적 설명으로 환원할 수 있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성경에 기록된 경험은 실험실에서 연구된 경험과 전혀 다릅니다. 통제된 조건하에서 생산된 것은 그 어떤 것과도 유사하지 않으며, 적어도 현재와 가까운 미래에는 그것은 실현되지 않은 과학적 몽상일뿐입니다. 영적 체험과 관련하여 일어나는 일은 뇌의 특정 영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훨씬 더 복잡하고 역동적인 과정입니다.
종교인의 영적 경험은 살아 계신 신과의 진정한 만남입니까? 아니면 오늘날 일부 과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그것은 단지 뇌 상태의 오작동으로 인한 산물에 불과합니까? 그러나 이러한 질문과 연구는 종교인으로서 가지는 가장 소중한 경험들을 훼손하고 재해석할 위험이 있습니다.